깊은 밤이었다. 도시의 불빛도, 시골 마을의 개 짖는 소리도 모두 잠든 시간이었고, 달빛은 유난히 또렷하게 물 위를 비추고 있었다. 나는 아무도 없는 저수지 가장자리에 홀로 앉아 낚싯대를 드리운 채, 고요함 속에서 무언가를 기다리고 있었다. 찌는 잔잔한 물결 위에 멈춰 있었지만, 그 아래 어디쯤에선 수면과는 다른 리듬으로 무언가가 흐르고 있을 것만 같았다. 손끝에 전해지는 아무런 신호도 없었지만, 마음만은 그 속에서 울려 나오는 미세한 떨림을 감지하려 애쓰고 있었다. 이 밤의 적막은 단순한 정적이 아니었다. 차라리 ‘말 없는 웅성거림’이라고 해야 할 것이다. 이 고요함은 소리 없는 목소리로 나에게 말을 걸었고, 나는 그 대답을 듣기 위해 침묵을 유지했다. 어릴 적부터 나는 밤이라는 시간을 이상하게 사랑했다. 해가 진 뒤 세상이 하나 둘씩 불을 끄기 시작하면, 나는 비로소 나 자신의 속삭임을 들을 수 있었고, 그것은 마치 어둠 속에서 반짝이는 불씨처럼 내 안을 따뜻하게 태웠다. 오늘 이 밤도 그러했다. 아무도 없는 이 물가에서, 찌 하나를 사이에 두고 나는 물과 마음의 경계에 앉아 있었다. 사실 낚시라는 행위는 밤이 가장 깊은 시간을 품고 있다. 해가 질 무렵부터 시작해 새벽이 밝아오기 전까지의 그 찰나들이야말로, 가장 많은 것을 깨닫고 가장 많은 것을 놓아버리는 시간이다. 낮에는 잡고자 애썼던 것들이 밤에는 오히려 흘려보내고 싶어진다. 나는 이 조용한 물결 위에서 많은 생각들을 떠올리고 있었다. 지나간 사람들, 아직 말하지 못한 감정들, 다시는 돌아갈 수 없는 어떤 시절들. 그 모든 것이 이 고요한 밤의 물결처럼, 보이지 않지만 흐르고 있었고, 나는 낚싯대를 붙잡은 채 그 흐름에 몸을 실었다. 가끔 찌가 살짝 흔들릴 때면, 마치 내 속마음이 들킨 것 같아 놀라곤 한다. 마치 물속의 붕어가 나의 생각을 읽고, 그것에 반응하듯 찌를 건드리는 느낌이다. 그런 순간에는 낚시가 단순한 생업이나 취미가 아니라, 존재와 존재 사이의 교감이라는 사실을 절감하게 된다. 우리는 어쩌면 서로의 고요를 감지하며 살아가는 존재인지도 모른다. 사람과 사람 사이도, 마음과 마음 사이도, 말이 없어야 더 잘 들리는 순간이 있다. 그 고요함이 말보다 더 정확하게 진심을 전하기도 한다.

나는 오늘따라 밤을 쉽게 보낼 수 없었다. 평소 같으면 찌를 바라보다 잠깐 눈을 붙였을 텐데, 오늘은 이상하게도 눈을 감을 수 없었다. 그 이유가 정확히 무엇인지 알 수 없지만, 아마도 마음 한구석에 풀리지 않은 무언가가 남아 있어서였을 것이다. 나는 최근의 내 삶을 되짚어보았다. 바쁘다는 이유로 놓쳤던 대화들, 미뤄두었던 감정들, 외면했던 나 자신의 감정선들. 밤은 이런 것들을 끄집어내기에 적절한 시간이다. 낮의 분주함은 숨기기에 용이하지만, 밤의 정적은 모든 것을 드러낸다. 나는 조용히 숨을 고르며, 찌 대신 내 마음의 중심을 바라보았다. 그것은 마치 자신의 심장을 들여다보는 것과 같은 기분이었다. 규칙적으로 뛰고 있지만, 어디선가 미세하게 삐걱거리는 느낌. 나 자신도 모르게 균형이 어긋난 채 살아가고 있었고, 이 고요한 밤만이 그것을 알려주고 있었다. 물이 다시 살짝 일렁인다. 입질은 아니었고, 바람조차 불지 않았지만, 수면은 살아있는 듯 몸을 뒤척이고 있었다. 어쩌면 이 밤은 단지 ‘고요한’ 것이 아니라, 너무 많은 이야기들이 겹쳐진 채 조용히 웅얼거리는 시간일지도 모른다. 나는 그 소리를 듣고 싶었다. 그 누구에게도 방해받지 않는 이 순간, 나는 나 자신과 온전히 마주하기 위해 여기에 있었다. 찌를 바라보며, 나는 나의 생각 하나하나를 끄집어내고, 그것을 물 위에 띄웠다. 어떤 생각은 금방 가라앉았고, 어떤 감정은 멀리까지 흘러갔다. 그리고 몇몇은 여전히 내 앞에 머물러 찌처럼 흔들렸다. 나는 그 감정들을 끌어올릴 수도, 그냥 떠나보낼 수도 있었다. 낚시란 결국 선택의 연속이다. 기다릴 것인가, 건질 것인가, 놓아줄 것인가. 그리고 삶 역시 그와 다르지 않다. 우리에게 주어진 하루하루는 끝없는 선택의 연속이며, 때로는 잡기보다 놓는 것이 더 깊은 울림을 남긴다. 깊은 밤의 낚시는 누군가에겐 지루할 수 있다. 그러나 나에겐 가장 진실한 시간이다. 붕어가 물고기를 물지 않아도, 찌가 꿈쩍도 하지 않아도, 나는 여기에서 많은 것을 배우고 느낀다. 이 조용한 웅성거림 속에서 나는 내가 누구인지, 무엇을 두려워하고 무엇을 그리워하는지를 알게 된다. 낚시터에 앉아 있는 동안, 나는 어쩌면 나 자신을 낚고 있는지도 모른다. 찌 끝에 걸려 있는 것은 붕어나 감정이 아니라, 나라는 인간의 흔들림, 그 실루엣일지도. 밤은 그렇게 나를 벗기고 드러낸다. 침묵은 말보다 깊은 울림을 만들고, 고요는 마음의 파장을 더 정확히 감지하게 한다. 나는 또다시 찌를 응시한다. 수면은 여전히 말이 없고, 달빛은 그 위를 조용히 쓰다듬는다. 그러나 나는 알고 있다. 이 적막 속에 무수한 말들이 숨어 있다는 것을. 이 고요 속에서 나는 매번 다시 태어난다.